Surprise Me!

[뉴스특보] 오송 지하차도 사망 14명…충청·남부 장맛비 계속

2023-07-18 1 Dailymotion

[뉴스특보] 오송 지하차도 사망 14명…충청·남부 장맛비 계속<br /><br /><br />오늘(18일) 오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발표한 이번 집중호우 사망·실종자 수가 50명에 이릅니다.<br /><br />현재도 실종자 수색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국 곳곳에 비는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장석환 대진대 건설시스템공학과 교수, 김재훈 기상과학전문기자와 함께 현재 피해 복구 상황 그리고 추가 비 소식, 대비책까지 알아봅니다.<br /><br /> 기록적인 폭우로 피해가 심각합니다. 현재까지 집계된 피해 상황부터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 이번 집중호우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한 곳이죠. 오송지하차도의 수색 작업은 끝났습니까?<br /><br /> 처음부터 왜 차량 통제가 되지 않았느냐, 이 부분이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. 홍수경보가 발령됐고 청주시에 통보까지 됐다는데요.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이 외에도 피해를 막을 수 있었던 정황들이 속속 드러났습니다. 3년 전 충북도가 정부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오송 지하차도에 대해 '침수 위험이 크지 않다'라고 통보했다고 합니다. 바로 옆에 있는 지하차도기 때문에 다른 곳보다 위험이 더 높을 것 같기도 한데요. 왜 이런 조사 결과가 나온 걸까요?<br /><br /> 2020년 부산에서도 지하차도 침수 사고가 있었고요.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해 터널 입구에 '자동 차단 시설' 설치 움직임이 있었는데요. 왜, 이 지하차도에는 이런 차단시설이 없었는지, 이 부분도 의아하거든요. 차단시설이 있었다면, 이런 참사 막을 수 있었을까요?<br /><br /> 참사 주원인으로는 미호강 임시 제방이 지목되고 있습니다. 원래 있던 둑 대신 임시 제방이 있었고 심지어 이게 터지기까지 했습니다. 경찰과 국과수도 제방 부실 관리 정황에 대한 조사에 본격 착수했는데요. 전문가로서, 미호강 임시 제방의 가장 큰 문제점은 뭐였습니까?<br /><br /> 경북 예천 산사태도 문제가 큽니다. 아직 수색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. 현재 수색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 예천 산사태도 자연재해가 아닌 인재일 가능성이 크단 지적도 나옵니다. 사람이 인공적으로 건드렸기 때문이라는 건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문제는 수색, 복구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경북 예천 지역에 또다시 비가 내리고 있다는 건데요. 얼마나 내리고 있습니까?<br /><br /> 2011년 서울 우면산 산사태 이후, '산사태 취약 지역'을 지정해 관리하고 있는데요. 그런데 이번에 산사태가 난 경북 예천군 현장은 '산사태 취약 지역'이 아니었다고 합니다. 제대로 조사가 안 됐던 걸까요? 아님 이번 산사태가 예상 밖의 상황이었던 겁니까?<br /><br /> 산사태는 비가 크게 내린 후가 더 위험하다고 하던데요. 왜 그런 건가요? 그렇다면,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그 외 지역 호우 상황도 알아보겠습니다. 오늘도 충청과 남부에는 장대비가 내리고 있는데요. 현재 비가 강하게 쏟아지는 지역은 어딥니까?<br /><br /> 지난 해 수도권 집중호우나 태풍 '힌남노' 당시에도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는데요. 그때와 비교한다면 이번 집중호우 어느 정도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충청과 남부지방은 엿새째 장대비가 쏟아지고 있습니다. 올해 장맛비 유독 충청과 남부지방에 집중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?<br /><br /> 내일 오전까지 충청과 남부지방을 많은 비가 예보됐습니다. 그래도 내일 오후부터는 장맛비가 소강에 든다고요? 올해 장마는 언제쯤 끝날 것으로 예상됩니까.<br /><br /> 장맛비도 걱정인데, 태풍 소식까지 들려오고 있습니다. 이번 태풍, 우리나라에 영향은 없습니까?<br /><br /> 바람을 동반한 태풍 대비는 장마 대비와는 또 다를 텐데요. 현재 많은 비가 내린 상태에서 바람을 동반한 태풍의 간접 영향을 받는다면, 또 다른 피해가 생길지 걱정입니다. 태풍 대비에선 어떤 점을 가장 주의해야 할까요?<br /><br /> 이번 여름부터 극한 호우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그만큼 이제는 비가 점점 극단적으로 내리고 있는데요. 아무래도 기후 변화가 원인이라고 봐야겠죠?<br /><br /> 이런 극단적인 집중호우 원인으로 기후 변화가 꼽히고 있고요. 그렇다면 앞으로도 매년 이렇게 비가 많이 내릴 수 있다는 건데요. 장기적으로 기후 변화에 대비해 참사를 막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해 보입니다. 어떤 부분이 가장 먼저 돼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